직업 대분류명 |
설치·정비·생산직 |
직업 중분류명 |
목재·펄프·종이 생산기계 조작원 |
직업 소분류명 |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
하는일 |
식물성 물질, 섬유, 넝마, 고지 등으로 각종 형태의 펄프와 기타 섬유질의 셀룰로오스물질을 제조하는 기기 및 제품을 마무리하는 관련 기기를 조작한다. |
되는길 |
펄프 및 종이제조작치 조작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 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등 관련학과 전공자는 유리하다. 주로 펄프가공업체, 골판지, 인쇄용지 등 종이제조업체 등에서 근무하며 일정 경력이 쌓이면 반장 등 관리자로 승진한다. |
관련전공명 |
|
관련자격증명 |
임산가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펄프제지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522.4만원, 상위(25%) 4172만원 |
직업만족도(%) |
56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37%) 감소(50%) |
일자리현황 |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
업무수행능력 |
조작 및 통제(92)/장비의 유지(90)/장비 선정(88)/품질관리분석(88)/작동 점검(87)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5)/기계(94)/화학(78)/물리(54)/공학과 기술(49) |
업무환경 |
위험한 장비 노출(99)/보호장비 착용(98)/오염물질 노출(98)/소음 노출(97)/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6) |
성격 |
협조(41)/책임과 진취성(21)/타인에 대한 배려(18)/인내(17)/사회성(15) |
흥미 |
현실형(Realistic)(64)/관습형(Conventional)(21)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61)/경제적 보상(57)/성취(43)/자율(36)/타인에 대한 영향(32)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9)/기계장비 유지 보수(96)/일반적인 신체활동(94)/물건 조종, 운반(92)/차량, 기계, 장비 작동(88)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치 제어(99)/기계장비 유지 보수(96)/물건 조종, 운반(95)/일반적인 신체활동(94)/차량, 기계, 장비 작동(89) |
관련직업명 |
목재가공기계조작원, 종이제품생산기계조작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