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설치·정비·생산직
    직업 중분류명 운송장비 정비원
    직업 소분류명 오토바이정비원
    하는일 오토바이 제품별 특성을 파악하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 바퀴, 브레이크 계통, 연료주입부 등을 정비·점검·수리한다.
    되는길 오토바이 정비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 기능대학 등에서 자동차 및 기계 분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 오토바이와 자동차가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인 작동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대한 정비지식이 있는 사람이 오토바이 정비를 쉽게 배울 수 있다. 전반적인 기계에 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정비경험이 축적되어야 오토바이의 문제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고 해결하는 오토바이 정비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오토바이를 만드는 제조회사에서도 일부 오토바이 정비 희망자에게 체계적 훈련을 시키기도 한다. 관련 국가기술자격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동차정비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가 있다.
    관련전공명
    관련자격증명 자동차검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자동차정비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국가기술)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800만원, 평균(50%) 3255.8만원, 상위(25%) 3850만원
    직업만족도(%) 62.6
    일자리전망 증가(46%) 현상유지(29%) 감소(23%)
    일자리현황 오토바이정비원
    업무수행능력 고장의 발견.수리(93)/작동 점검(92)/장비의 유지(90)/설치(86)/장비 선정(84)
    지식 기계(86)/고객서비스(78)/영업과 마케팅(74)/운송(68)/경영 및 행정(67)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100)/비좁은 업무 공간(99)/오염물질 노출(99)/위험한 장비 노출(98)/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
    성격 책임과 진취성(67)/꼼꼼함(64)/인내(57)/신뢰성(55)/정직성(49)
    흥미 현실형(Realistic)(72)/탐구형(Investigative)(45)
    직업가치관 개인지향(65)/자율(47)/지적 추구(36)/타인에 대한 영향(30)/경제적 보상(29)
    업무활동 중요도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기계장비 유지 보수(99)/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기계장치 제어(97)/자원 관리(95)
    업무활동 수준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기계장비 유지 보수(98)/기계장치 제어(97)/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물건 조종, 운반(96)
    관련직업명 항공기정비원, 헬리콥터정비원, 선박정비원, 철도기관차·전동차정비원, 자동차정비원, 자전거판매 및 정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