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직업 소분류명 |
방송연출가 |
하는일 |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예산에 이르기까지 방송 제작 전반을 총괄한다. |
되는길 |
방송연출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관련 학과나 사설학원 등에서 방송, 영화, 연극 제작 등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해외유학 등을 통해 이론뿐 아니라 시나리오 작업에서부터 촬영, 편집 등에 대한 것을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의 진출도 많고, 대학에서부터 동아리활동, 단편영화제작 등 연출 경험을 미리 쌓는 사람도 많다. 방송프로듀서는 대학에서의 동아리활동, 방송아카데미 등에서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는 것이 입직 후 업무를 수행할 때 유리하다. 방송프로듀서는 일반적으로 각 방송사의 공개채용을 통해 입직한다. 지상파방송사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독립프로덕션 등에서도 전문대 졸업 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나 점차 학력 제한을 폐지하는 추세이다. 외국어 프로그램 제작 및 방송을 위해 해당 언어 전문 프로듀서를 채용하기도 한다. 방송사에 따라 채용 과정에 차이가 있지만 대개 ‘서류전형-필기시험(시사교양, 논술)-실무능력평가-면접’ 등의 단계를 거친다. 종합유선방송사, 독립프로덕션 등의 경우에는 인맥이나 학원 추천 등 다양한 경로로 채용이 이루어진다. 방송프로듀서의 경우 입사 후 일정기간 수습과정을 거쳐 조연출로 활동하게 된다. 보통 ‘조연출자 → 연출자(PD) → 책임연출자(CP : Chief Producer)’ 등으로 승진한다. 방송사에 입사 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맡게 되기까지 교양프로그램은 5년 내외, 예능프로그램은 7년 내외, 드라마는 그 이상의 경력이 요구되어, 과거에 비해 방송사의 인력 적체로 2~3년이 더 소요되고 있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을 기획·관리하는 책임연출자(CP)까지는 입사 후 10년 이상이 소요된다. 방송프로듀서는 어느 정도 경력을 쌓아 프리랜서로 활동하기도 하며, 직접 독립프로덕션을 차려 방송사와 계약을 맺고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한다. |
관련전공명 |
광고·홍보학과, 국제지역학과, 문화·민속·미술사학과, 사진·영상예술학과, 사회학과, 신문방송학과, 역사·고고학과, 연극·영화학과, 일본어·문학과, 정보미디어학과, 종교학과, 중국어·문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730만원, 평균(50%) 4500만원, 상위(25%) 5800만원 |
직업만족도(%) |
74.3 |
일자리전망 |
증가(47%) 현상유지(50%) 감소(3%) |
일자리현황 |
방송연출가 |
업무수행능력 |
인적자원 관리(100)/창의력(99)/시간 관리(99)/모니터링(Monitoring)(98)/행동조정(97) |
지식 |
철학과 신학(100)/의사소통과 미디어(100)/예술(99)/역사(99)/국어(99) |
업무환경 |
갈등 상황(97)/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5)/마감시간(93)/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85)/이메일 이용하기(84) |
성격 |
리더십(97)/혁신(96)/적응성/융통성(87)/사회성(83)/협조(83) |
흥미 |
예술형(Artistic)(97)/사회형(Social)(75) |
직업가치관 |
다양성(90)/인정(88)/타인에 대한 영향(85)/성취(81)/신체활동(81) |
업무활동 중요도 |
창조적 생각(91)/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0)/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5)/팀 구성, 협업 촉진(83)/정보 수집(81)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89)/정보 작성, 기록(82)/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2)/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1)/컴퓨터 업무(81) |
관련직업명 |
영화감독, 연극연출가, 광고영상감독, 연극영화방송기술감독, 영화배우 및 탤런트, 모델, 연극 및 뮤지컬배우, 개그맨 및 코미디언, 성우, 아나운서, 리포터, 촬영기사, 음향·녹음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기사, 조명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