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직업 소분류명 |
대중무용수 |
하는일 |
관객을 대상으로 대중음악에 맞추어 춤을 춘다. |
되는길 |
대중무용수가 되기 위해서는 대중무용 사설강습소에서 교육을 받거나, 공개오디션을 통해 백댄서로 선발되면 된다. 무엇보다도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며, 많은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인 반면 많은 시간의 연습량이 요구되므로 강인한 체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화려한 외형에 쏠리기보다는 프로근성을 가지고 꾸준한 연습을 통해 대중무용수로서의 자질을 익혀야 한다. |
관련전공명 |
무용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086만원, 평균(50%) 2950.4만원, 상위(25%) 3563만원 |
직업만족도(%) |
62.8 |
일자리전망 |
증가(20%) 현상유지(60%) 감소(20%) |
일자리현황 |
대중무용수 |
업무수행능력 |
유연성 및 균형(100)/가르치기(84)/창의력(72)/정교한 동작(54)/신체적 강인성(51) |
지식 |
예술(100)/교육 및 훈련(93)/의사소통과 미디어(71)/인사(69)/심리(68) |
업무환경 |
균형을 유지하기(100)/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100)/걷거나 뛰기(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9) |
성격 |
자기통제(97)/성취/노력(96)/혁신(92)/리더십(87)/적응성/융통성(83) |
흥미 |
예술형(Artistic)(100)/탐구형(Investigative)(90)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90)/자율(75)/성취(64)/다양성(60)/경제적 보상(57) |
업무활동 중요도 |
일반적인 신체활동(99)/팀 구성, 협업 촉진(89)/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9)/창조적 생각(87)/대인관계 유지(85)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9)/팀 구성, 협업 촉진(95)/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3)/대인관계 유지(90)/창조적 생각(89) |
관련직업명 |
화가, 조각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만화가,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국악인, 지휘자, 작곡가, 연주가, 가수, 성악가, 무용가, 안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