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직업 중분류명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직업 소분류명 무용가
    하는일 음악에 맞추어 혼자 또는 단체의 일원으로서 예술적으로 춤을 춘다.
    되는길 무용가가 되기 위해서는 예술계 중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무용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중에는 어린 시절부터 무용교육을 받으면서 일찍 진로를 결정한 사람이 많다. 대학의 무용과는 학교에 따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등으로 세부전공이 나뉜다. 무용과에서는 전공 실기수업과 공연 활동을 통해 표현력과 창작능력을 기르고, 이론수업을 통해 무용의 학문적 탐구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 외에 사설무용교육기관을 통해서도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무용가는 국·시립무용단을 포함한 직업무용단과 동일한 학교의 졸업생이나 특정 스승의 제자들이 주축이 된 동문무용단, 공연에 따라 수당을 받는 전문무용단 등에서 주로 활동하거나 개인 무용가로 활동한다. 직업무용단에서 정규직으로 활동하는 무용가는 많지 않고 대부분 프리랜서, 임시직, 파트타임 등의 형태로 활동한다. 무용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단원모집 오디션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용단에 따라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 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또 공연작품에 따라 그에 맞는 단원을 공개 오디션으로 뽑기도 하며, 대학에서 운영되는 무용단은 추천을 통해 단원으로 선발되기도 한다. 일부는 연수 단원으로 활동하다가 오디션을 거쳐 정식 단원이 되기도 한다. 보통 오디션은 지원자 자유무용과 무용단 지정무용 등으로 구성된다.
    관련전공명 무용학과
    관련자격증명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645만원, 평균(50%) 3108만원, 상위(25%) 3626만원
    직업만족도(%) 66.7
    일자리전망 증가(7%) 현상유지(63%) 감소(30%)
    일자리현황 무용가
    업무수행능력 유연성 및 균형(100)/반응시간과 속도(100)/창의력(99)/기억력(99)/공간지각력(99)
    지식 예술(100)/교육 및 훈련(92)/의사소통과 미디어(92)/역사(88)/철학과 신학(86)
    업무환경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균형을 유지하기(97)/연설, 발표, 회의하기(97)/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6)/걷거나 뛰기(95)
    성격 적응성/융통성(97)/혁신(92)/협조(92)/인내(90)/사회성(85)
    흥미 예술형(Artistic)(98)/진취형(Enterprising)(81)
    직업가치관 다양성(99)/타인에 대한 영향(97)/인정(96)/이타(93)/성취(81)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97)/팀 구성, 협업 촉진(95)/창조적 생각(95)/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4)/사람들을 훈련, 교육(93)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97)/사람들을 훈련, 교육(97)/팀 구성, 협업 촉진(97)/창조적 생각(96)/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5)
    관련직업명 화가, 조각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만화가,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국악인, 지휘자, 작곡가, 연주가, 가수, 성악가, 안무가, 대중무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