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직업 소분류명 |
성악가 |
하는일 |
연주회나 독창회 등에서 피아노 반주 또는 관현악단의 연주에 맞추어 독창, 합창, 중창의 형태로 정통 고전음악 및 가곡을 노래한다. |
되는길 |
성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관현악과, 기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음악과, 작곡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청소년기가 되기 전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꾸준한 연습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음악가 중에는 예술계 중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사람이 많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사설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 음악가 중에는 이탈리아를 비롯해 유럽으로 유학을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 지휘자는 지휘만 전공으로 한 사람도 있지만 대개 기악을 전공하다가 지휘 분야를 공부해서 지휘자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폭넓은 음악 감상을 통해 음악가로서의 소양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야 하며 각종 음악 콩쿠르에 참여하여 입상 경력을 쌓아놓는 것도 중요하다. 서양음악을 많이 다루게 되고 오페라나 예술가곡이 대부분 유럽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에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외국어 실력을 키워놓으면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된다. |
관련전공명 |
음악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545만원, 평균(50%) 3100만원, 상위(25%) 3765만원 |
직업만족도(%) |
72.3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43%) 감소(43%) |
일자리현황 |
성악가 |
업무수행능력 |
청력(100)/기억력(84)/모니터링(Monitoring)(71)/창의력(69)/듣고 이해하기(67) |
지식 |
예술(100)/철학과 신학(76)/역사(76)/영어(65)/국어(61)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94)/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2)/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81)/균형을 유지하기(78)/규칙적인 근무(70) |
성격 |
타인에 대한 배려(88)/성취/노력(87)/책임과 진취성(86)/사회성(85)/자기통제(84) |
흥미 |
예술형(Artistic)(97)/사회형(Social)(67) |
직업가치관 |
다양성(93)/성취(87)/자율(87)/인정(77)/타인에 대한 영향(76) |
업무활동 중요도 |
창조적 생각(81)/대인관계 유지(79)/팀 구성, 협업 촉진(79)/사람들을 훈련, 교육(73)/사람들을 배려, 돌봄(73) |
업무활동 수준 |
대인관계 유지(66)/창조적 생각(65)/팀 구성, 협업 촉진(64)/사람들을 훈련, 교육(63)/사람들을 배려, 돌봄(61) |
관련직업명 |
화가, 조각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만화가,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국악인, 지휘자, 작곡가, 연주가, 가수, 무용가, 안무가, 대중무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