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직업 소분류명 |
지휘자 |
하는일 |
관악가, 현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관현악단을 지휘하거나, 합창단, 경음악단의 연주를 지도하고 지휘하며 악곡을 작곡하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예술적인 행위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지휘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관현악과, 기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음악과, 작곡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청소년기가 되기 전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꾸준한 연습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음악가 중에는 예술계 중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사람이 많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사설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 음악가 중에는 이탈리아를 비롯해 유럽으로 유학을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 지휘자는 지휘만 전공으로 한 사람도 있지만 대개 기악을 전공하다가 지휘 분야를 공부해서 지휘자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폭넓은 음악 감상을 통해 음악가로서의 소양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야 하며 각종 음악 콩쿠르에 참여하여 입상 경력을 쌓아놓는 것도 중요하다. 서양음악을 많이 다루게 되고 오페라나 예술가곡이 대부분 유럽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에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외국어 실력을 키워놓으면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된다. |
관련전공명 |
실용음악과, 예체능교육과, 음악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1475만원, 평균(50%) 2700만원, 상위(25%) 3563만원 |
직업만족도(%) |
81.1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100%) 감소(0%) |
일자리현황 |
지휘자 |
업무수행능력 |
청력(100)/학습전략(97)/선택적 집중력(97)/가르치기(96)/창의력(96) |
지식 |
예술(100)/철학과 신학(97)/교육 및 훈련(92)/사회와 인류(84)/역사(82) |
업무환경 |
연설, 발표, 회의하기(99)/규칙적인 근무(97)/결과에 대한 책임(97)/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6)/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7) |
성격 |
리더십(99)/책임과 진취성(93)/자기통제(93)/인내(88)/성취/노력(87) |
흥미 |
예술형(Artistic)(100)/진취형(Enterprising)(96)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93)/타인에 대한 영향(88)/인정(87)/다양성(86)/성취(73) |
업무활동 중요도 |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100)/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100)/사람들을 훈련, 교육(100)/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일반적인 신체활동(99) |
업무활동 수준 |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100)/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100)/사람들을 훈련, 교육(100)/팀 구성, 협업 촉진(100)/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100) |
관련직업명 |
화가, 조각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만화가,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국악인, 작곡가, 연주가, 가수, 성악가, 무용가, 안무가, 대중무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