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직업 중분류명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직업 소분류명 조각가
    하는일 목재, 석재, 진흙, 금속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입체적인 조각작품을 창작한다.
    되는길 조각가가 되기 위해서는 조소과 등의 미술대학에 진학하여 기초적인 이론과 실기를 비롯한 전공 분야의 심도 있는 교육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대개 실기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때 미리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학업과 미술실기 준비를 병행해야 한다. 그러나 정규교육과정을 거치지 않고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훈련하여 일정한 경지에 올라 미술 공모전에 입상한 다음 조각가의 길로 들어서는 사람도 있으며,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센터나 사회교육원의 관련 교육을 받고 조각가의 길로 들어서는 사람도 있다. 조각가가 되기 위해서는 작품전시회, 공모전 출품 등 꾸준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전공명 미술학과, 예체능교육과, 조형학과
    관련자격증명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58만원, 평균(50%) 3918.4만원, 상위(25%) 4500만원
    직업만족도(%) 68.4
    일자리전망 증가(0%) 현상유지(67%) 감소(33%)
    일자리현황 조각가
    업무수행능력 정교한 동작(86)/창의력(86)/공간지각력(66)/움직임 통제(66)/신체적 강인성(61)
    지식 예술(100)/디자인(99)/식품생산(94)/철학과 신학(94)/역사(92)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96)/위험한 장비 노출(93)/균형을 유지하기(93)/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1)/비좁은 업무 공간(86)
    성격 성취/노력(79)/혁신(79)/독립성(68)/리더십(66)/스트레스 감내성(61)
    흥미 예술형(Artistic)(100)/탐구형(Investigative)(99)
    직업가치관 개인지향(94)/자율(93)/성취(79)/심신의 안녕(74)/다양성(66)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8)/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6)/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4)/일반적인 신체활동(82)/물건 조종, 운반(75)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99)/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3)/일반적인 신체활동(92)/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1)/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4)
    관련직업명 화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만화가,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국악인, 지휘자, 작곡가, 연주가, 가수, 성악가, 무용가, 안무가, 대중무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