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직업 중분류명 학예사·사서·기록물관리사
    직업 소분류명 기록물관리사
    하는일 영구기록물이나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평가하고 편집하며, 기록물에 기초한 조사활동에 참여하고 기록물과 기록 자료의 안전한 보존을 감독한다.
    되는길 기록물관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기록물관리학, 역사학, 문헌정보학 등을 전공해야 한다. 기록물관리 전문인력 양성과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기록물관리학석사학위 이상, 혹은 역사학 또는 문헌정보학의 경우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하고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기록물관리사는 공공기관, 기업 및 연구소 등에 진출하며, 기록물관리사 혹은 행정업무 중 기록물관리를 담당하는 업무로 채용된다. 국공립 기관에서 근무하는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는 공무원이므로 공무원의 승진 체계를 따른다. 이들 중에는 전문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사람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기록물관리사는 각종 전자 자료를 포함한 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문성과 객관적 판단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공공기록 관리업무를 하는 경우 업무 중 접한 관련 정보를 누설하지 않는 도덕성과 정직성, 일에 대한 자부심도 필요하다.
    관련전공명 문헌정보학과, 문화·민속·미술사학과, 역사·고고학과, 철학·윤리학과
    관련자격증명 기록물관리전문요원(국가전문)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00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3833만원
    직업만족도(%) 73.1
    일자리전망 증가(64%) 현상유지(28%) 감소(8%)
    일자리현황 기록물관리사
    업무수행능력 재정 관리(100)/물적자원 관리(100)/신체적 강인성(100)/범주화(99)/움직임 통제(99)
    지식 역사(100)/사무(97)/철학과 신학(87)/국어(84)/법(82)
    업무환경 공문, 문서 주고받기(87)/이메일 이용하기(86)/앉아서 근무(86)/균형을 유지하기(83)/전화 대화하기(82)
    성격 사회성(79)/정직성(75)/협조(74)/꼼꼼함(71)/신뢰성(61)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3)/사회형(Social)(47)
    직업가치관 애국(92)/인정(82)/지적 추구(79)/고용안정(79)/타인에 대한 영향(66)
    업무활동 중요도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9)/정보의 의미 해석(98)/정보 작성, 기록(97)/정보 처리(97)/정보, 자료 분석(96)
    업무활동 수준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6)/정보의 의미 해석(96)/정보, 자료 분석(95)/정보 처리(95)/정보 수집(94)
    관련직업명 학예사, 문화재보존원, 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