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작가·통번역가 |
직업 소분류명 |
방송작가 |
하는일 |
방송프로그램(드라마 또는 비드라마)을 제작을 위한 대본을 작성한다. |
되는길 |
방송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 등의 어문계열, 문예창작학과, 연극영화학과, 방송연출과 등에서 관련 교육을 받으면 도움이 된다. 관련 학과에 진학하면 다양한 작품과 작가를 분석하게 되고 습작훈련을 통해 문장력, 표현력 등을 기를 수 있다. 그러나 제도적 교육보다는 작가적 자질을 스스로 키워나가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평소 독서와 사색, 글쓰기 연습을 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송작가는 방송아카데미, 관련 협회 등 사설학원에서 방송대본 작성법을 교육받는 경우가 많다. 방송작가는 공모전, 인맥, 혹은 방송작가 양성 교육기관의 추천 등을 통해 일을 시작할 수 있고, 처음에는 보조작가로 출발해 자료수집, 섭외 등을 맡다가 경력을 쌓아 메인작가가 될 수 있다. |
관련전공명 |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과, 방송·연예과, 언어교육과, 언어학과, 역사·고고학과, 연극·영화학과, 철학·윤리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71만원, 평균(50%) 4000만원, 상위(25%) 4558만원 |
직업만족도(%) |
67 |
일자리전망 |
증가(50%) 현상유지(47%) 감소(3%) |
일자리현황 |
방송작가 |
업무수행능력 |
글쓰기(91)/창의력(79)/읽고 이해하기(68)/말하기(64)/듣고 이해하기(63) |
지식 |
국어(100)/철학과 신학(99)/의사소통과 미디어(99)/예술(99)/역사(98) |
업무환경 |
재택근무(100)/규칙적인 근무(96)/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4)/갈등 상황(94)/마감시간(93) |
성격 |
혁신(98)/스트레스 감내성(94)/적응성/융통성(94)/인내(92)/협조(90) |
흥미 |
예술형(Artistic)(99)/사회형(Social)(89)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94)/개인지향(92)/다양성(91)/자율(72)/타인에 대한 영향(71) |
업무활동 중요도 |
창조적 생각(95)/정보 수집(82)/사물, 행동, 사건 파악(82)/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76)/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67)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91)/정보 수집(72)/사물, 행동, 사건 파악(71)/목표, 전략 수립(68)/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66) |
관련직업명 |
소설가, 영화시나리오작가, 번역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