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작가·통번역가 |
직업 소분류명 |
영화시나리오작가 |
하는일 |
영화를 제작하기 위하여 창작글을 쓰거나 문학작품의 내용을 각색하여 시나리오(대본)를 쓴다. |
되는길 |
영화시나리오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연극영화과나 영화과, 연극과 등에서 전문성을 키우거나,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등에서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도적 교육보다는 작가적 자질을 스스로 키워나가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평소 독서와 사색, 글쓰기 연습을 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영화를 좋아하고 영화 제작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영화 시나리오 작성방법은 영화아카데미, 관련 협회 등 사설학원에서도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에 출품하여 입상하거나 자신이 쓴 시나리오를 영화사에 투고해 영화사로부터 영화제작 제의를 받을 수도 있다. |
관련전공명 |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과, 방송·연예과, 연극·영화학과, 철학·윤리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1900만원, 평균(50%) 2500만원, 상위(25%) 3000만원 |
직업만족도(%) |
63.3 |
일자리전망 |
증가(57%) 현상유지(23%) 감소(20%) |
일자리현황 |
영화시나리오작가 |
업무수행능력 |
기억력(99)/창의력(99)/글쓰기(99)/추리력(98)/읽고 이해하기(95) |
지식 |
철학과 신학(100)/역사(100)/사회와 인류(100)/예술(100)/국어(100) |
업무환경 |
재택근무(100)/규칙적인 근무(100)/치열한 경쟁(97)/갈등 상황(90)/앉아서 근무(90) |
성격 |
독립성(99)/인내(99)/혁신(99)/책임과 진취성(98)/스트레스 감내성(98) |
흥미 |
예술형(Artistic)(100)/탐구형(Investigative)(99) |
직업가치관 |
다양성(97)/자율(96)/개인지향(96)/심신의 안녕(92)/성취(83) |
업무활동 중요도 |
정보 수집(97)/창조적 생각(96)/사물, 행동, 사건 파악(92)/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1)/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1)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93)/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9)/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9)/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5)/대인관계 유지(85) |
관련직업명 |
소설가, 방송작가, 번역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