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직업 중분류명 |
작가·통번역가 |
직업 소분류명 |
소설가 |
하는일 |
등장인물, 사건, 배경 등을 구상하고 주제를 결정하여 일정형식의 소설을 저술한다. |
되는길 |
소설가가 되기 위해 정해진 준비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등에서 관련 교육을 받으면 소설을 쓰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관련 학과에 진학하면 다양한 작품과 작가를 분석하게 되고 습작훈련을 통해 문장력, 표현력 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함께 소설을 공부하는 동료 및 선후배 등과 학문적 네트워크를 맺으며 소설가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제도적 교육보다는 작가적 자질을 스스로 키워나가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평소 독서와 사색, 글쓰기 연습을 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온라인 글쓰기 플랫폼을 통해 글을 쓰거나 출간 전 연재를 한 다음 책으로 발간하면서 작가로 활동하는 사례들도 있다. 소설가의 경우 여전히 일간지의 신춘문예 당선, 전문지·동인지의 추천, 출판사, 문학잡지 등의 공모전 당선, 혹은 개인 창작집 발표 등을 통해 등단할 수 있다. 요즘은 온라인 글쓰기 플랫폼을 통해 작품을 연재한 다음 책을 발간하는 소설가도 늘고 있으며, 웹소설의 인기가 커지면서 책을 발간하지 않고 웹소설로 소설가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 |
관련전공명 |
국어·국문학과, 기타 아시아어·문학과, 기타 유럽어·문학과, 독일어·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문예창작과, 스페인어·문학과, 언어학과, 영미어·문학과, 일본어·문학과, 중국어·문학과, 철학·윤리학과, 프랑스어·문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1606만원, 평균(50%) 2450만원, 상위(25%) 3350만원 |
직업만족도(%) |
64.3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37%) 감소(63%) |
일자리현황 |
소설가 |
업무수행능력 |
시력(100)/글쓰기(100)/추리력(100)/듣고 이해하기(99)/창의력(98) |
지식 |
철학과 신학(100)/사회와 인류(100)/역사(100)/국어(100)/예술(99) |
업무환경 |
재택근무(100)/규칙적인 근무(100)/의사결정 가능성(98)/의사결정 권한(97)/앉아서 근무(92) |
성격 |
독립성(89)/혁신(70)/인내(58)/분석적 사고(51)/성취/노력(38) |
흥미 |
예술형(Artistic)(100)/탐구형(Investigative)(91)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100)/자율(99)/다양성(99)/신체활동(95)/지적 추구(87) |
업무활동 중요도 |
창조적 생각(98)/인사 업무(96)/사람들을 훈련, 교육(85)/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5)/정보 수집(85)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96)/인사 업무(94)/사람들을 훈련, 교육(82)/행정, 관리 업무(79)/정보 수집(79) |
관련직업명 |
영화시나리오작가, 방송작가, 번역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