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보건·의료직 |
직업 중분류명 |
약사 및 한약사 |
직업 소분류명 |
약사 |
하는일 |
의사의 처방 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공인된 처방에 의해 약품을 조제·판매하며, 환자에 대한 약력관리와 복약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약학과를 졸업하고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의 약사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약학과는 4년제 대학이나 고등학교 졸업 후에 바로 입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학부 또는 학과에 입학하여 2년 이상 기초 교육과정을 마쳐야 하기 때문에 대학에서 6년 이상(2+4년) 공부해야 한다. 약학과에 입학하기 위해서 대학의 학부에서 2년간 일반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기화학 등의 약학과 관련된 선수과목을 이수해야 하며, 이후 우수한 평점, 외국어 능력 등 대학별로 요구하는 지원 자격을 갖춰야만 약학대학입문시험(PEET: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에 응시할 수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약학을 배울 수 있는 35개의 약학대학이 있다. 2017년 1월에 시행된 약사시험에 1,996명이 응시하여 1,868명(93.6%)가 합격하였다. |
관련전공명 |
약학과 |
관련자격증명 |
약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662만원, 평균(50%) 6500만원, 상위(25%) 7459만원 |
직업만족도(%) |
76.1 |
일자리전망 |
증가(36%) 현상유지(43%) 감소(20%) |
일자리현황 |
약사 |
업무수행능력 |
사람 파악(87)/읽고 이해하기(85)/서비스 지향(83)/듣고 이해하기(80)/재정 관리(76) |
지식 |
의료(100)/화학(99)/생물(96)/상담(84)/고객서비스(64) |
업무환경 |
의사결정 가능성(94)/실수의 심각성(89)/의사결정 권한(85)/외부 고객 대하기(81)/주말 및 공휴일 근무(79) |
성격 |
꼼꼼함(64)/정직성(58)/성취/노력(58)/책임과 진취성(30)/타인에 대한 배려(29) |
흥미 |
사회형(Social)(70)/관습형(Conventional)(59)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96)/자율(96)/개인지향(95)/고용안정(93)/이타(91) |
업무활동 중요도 |
자원 관리(96)/사람들을 배려, 돌봄(94)/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9)/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7)/정보 작성, 기록(85) |
업무활동 수준 |
자원 관리(96)/사람들을 배려, 돌봄(89)/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4)/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2)/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1) |
관련직업명 |
한약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