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
직업 중분류명 |
학교 교사 |
직업 소분류명 |
중·고등학교교사 |
하는일 |
국·공·사립의 중·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을 가르치기 위하여 교과서, 시청각 자료, 실험 장치와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생들에게 교과목을 가르치고 평가하며 생활을 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중고등학교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사범계열 학과를 졸업하거나 비사범계열 학과에서 교직 과목을 이수하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비사범계열학과 졸업 후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해도 2급 정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사범계열학과에 진학하면 각 교과목의 내용과 전달방법, 각 교과목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육학 영역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이밖에 교육학과 전공자가 국어국문학과(국어교육학과),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학과) 등을 부전공으로 이수하여 해당 교과목의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도 있다. 보통 4학년 1학기에는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배운 지식과 이론을 기초로 교육실습(교생실습)을 한다. |
관련전공명 |
교육학과 |
관련자격증명 |
중등학교정교사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85만원, 평균(50%) 4540만원, 상위(25%) 5950만원 |
직업만족도(%) |
79.4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43%) 감소(50%) |
일자리현황 |
중·고등학교교사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100)/학습전략(100)/말하기(93)/사람 파악(92)/설득(92) |
지식 |
교육 및 훈련(100)/역사(99)/철학과 신학(99)/사회와 인류(99)/상담(98) |
업무환경 |
연설, 발표, 회의하기(90)/공문, 문서 주고받기(90)/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82)/사람들과 직접 접촉(78)/다른 사람과의 접촉(77) |
성격 |
타인에 대한 배려(96)/사회성(95)/리더십(94)/협조(93)/독립성(92) |
흥미 |
사회형(Social)(98)/관습형(Conventional)(80) |
직업가치관 |
이타(98)/애국(97)/심신의 안녕(96)/고용안정(95)/타인에 대한 영향(95)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100)/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8)/사람들을 배려, 돌봄(98)/대인관계 유지(97)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9)/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7)/팀 구성, 협업 촉진(96)/협상, 갈등 해결(96) |
관련직업명 |
초등학교교사, 특수교육교사, 보조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