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직업 중분류명 소방·방재·산업안전·비파괴 기술자
    직업 소분류명 산업안전원 및 위험관리원
    하는일 산업안전원은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산업재해예방계획을 수립하고, 산업재해 원인 조사, 재발 방지 대책 수립, 근로자에 대한 안전, 보건 교육 및 계도 등의 업무를 한다. 위험관리원은 각 산업현장에 배속되어 유해 및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분석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한다.
    되는길 산업안전원 및 위험관리원이 되려면 보통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기계, 전기·전자, 건축·토목, 화학공학, 소방 및 산업안전공학 등을 전공하고 해당 자격증취득 시 취업에 유리하다. 직업훈련기관이나 기술학원에도 산업안전기사 등의 자격취득을 위한 산업안전과정 등이 개설되어 있다.
    관련전공명 (안경)광학과,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방사선학과, 보건관리학과, 산업공학과, 소방방재학과, 에너지공학과, 전기공학과, 항공학과, 해양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과, 환경공학과
    관련자격증명 산업안전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산업안전지도사(국가전문), 인간공학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38만원, 평균(50%) 4000만원, 상위(25%) 4662만원
    직업만족도(%) 71.3
    일자리전망 증가(36%) 현상유지(43%) 감소(20%)
    일자리현황 산업안전원 및 위험관리원
    업무수행능력 고장의 발견.수리(92)/작동 점검(92)/장비의 유지(90)/장비 선정(87)/기술 분석(84)
    지식 안전과 보안(100)/공학과 기술(92)/법(90)/기계(86)/건축 및 설계(78)
    업무환경 연설, 발표, 회의하기(97)/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0)/보호장비 착용(89)/실외 근무(85)/사람들과 직접 접촉(84)
    성격 신뢰성(89)/책임과 진취성(84)/분석적 사고(81)/꼼꼼함(79)/정직성(79)
    흥미 사회형(Social)(75)/관습형(Conventional)(36)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67)/경제적 보상(66)/자율(65)/인정(65)/애국(62)
    업무활동 중요도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3)/기계장비 유지 보수(81)/기계장치 제어(79)/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78)/사물, 행동, 사건 파악(65)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비 유지 보수(8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4)/기계장치 제어(81)/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73)/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63)
    관련직업명 소방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위험관리원, 비파괴검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