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섬유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섬유공학기술자 |
하는일 |
섬유의 소재 및 의류 등 섬유제품을 개발하고 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시험분석을 수행하고, 섬유 가공기술의 개발 및 제품화를 위한 공정을 설계한다. |
되는길 |
섬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섬유공학 및 소재공학분야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고, 관련 분야의 실무경험이 있으면 취업에 더 유리하다. 특히 연구·설계분야 종사자는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이상의 학위가 필요하다. 섬유공학기술자를 육성하는 학과는 섬유공학과, 섬유시스템공학과, 신소재공학부 등으로 섬유고분자화학, 섬유고분자물리, 방적학, 제포공학, 염료화학 등 섬유에 관한 제반이론과 생산기술을 응용한 섬유기능성가공, 어패럴공학 등 섬유공정 분야에 필요한 지식 등을 교육한다. |
관련전공명 |
섬유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의류·의상학과, 재료·금속공학과, 패션디자인학과 |
관련자격증명 |
방사기술사(국가기술), 섬유공정기술사(국가기술), 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의류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00만원, 평균(50%) 4220만원, 상위(25%) 5076만원 |
직업만족도(%) |
71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57%) 감소(43%) |
일자리현황 |
섬유공학기술자 |
업무수행능력 |
기술 분석(96)/품질관리분석(94)/기술 설계(93)/기억력(88)/추리력(84) |
지식 |
화학(100)/공학과 기술(99)/물리(97)/상품 제조 및 공정(96)/영어(85) |
업무환경 |
위험한 상태 노출(95)/자동화 정도(94)/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88)/이메일 이용하기(85)/치열한 경쟁(84) |
성격 |
독립성(95)/혁신(94)/사회성(89)/리더십(88)/분석적 사고(87)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83)/관습형(Conventional)(60)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67)/경제적 보상(65)/신체활동(53)/성취(51)/개인지향(42) |
업무활동 중요도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6)/정보 작성, 기록(91)/정보 처리(89)/사물, 행동, 사건 파악(86)/팀 구성, 협업 촉진(86) |
업무활동 수준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7)/정보 작성, 기록(94)/정보 처리(90)/창조적 생각(88)/정보, 자료 분석(81) |
관련직업명 |
섬유공학시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