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에너지·환경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
하는일 |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 기계 및 장비 등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부터 환경을 관리·보전하고, 민원발생에 대한 대처방안을 계획·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소음진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환경공학, 기계공학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채용시 대부분의 업체에서 4년제 졸업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업체에 따라 연구, 개발, 해석 등의 전문 영역에서는 석사이상 등 대학원졸업자에 한해 채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소음진동방지시설업체, 소음진동관련 연구소, 소음진동측정시험업체 등에 취업한다. 대부분 소음진동기사 등 관련 자격을 취득하고 입사하며 경력이 쌓이면 소음진동기술사를 취득하거나 관련업체를 창업하여 독립하기도 한다. |
관련전공명 |
환경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소음진동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00만원, 평균(50%) 4144만원, 상위(25%) 4500만원 |
직업만족도(%) |
70.4 |
일자리전망 |
증가(73%) 현상유지(23%) 감소(3%) |
일자리현황 |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
업무수행능력 |
물적자원 관리(97)/가르치기(93)/청력(92)/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0)/재정 관리(89) |
지식 |
물리(100)/건축 및 설계(100)/산수와 수학(100)/공학과 기술(100)/기계(93) |
업무환경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2)/이메일 이용하기(87)/갈등 상황(86)/움직이는 기계(85)/정확성, 정밀성 유지(82) |
성격 |
분석적 사고(81)/혁신(67)/신뢰성(64)/적응성/융통성(60)/꼼꼼함(60)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2)/현실형(Realistic)(56) |
직업가치관 |
다양성(90)/신체활동(79)/개인지향(65)/지적 추구(64)/타인에 대한 영향(64)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0)/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0)/협상, 갈등 해결(90)/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9) |
업무활동 수준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5)/인사 업무(77) |
관련직업명 |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원자력공학기술자, 가스·에너지시험원 및 진단전문가,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영향평가원,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시험원, 보건위생·환경검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