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에너지·환경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
하는일 |
풍력발전시스템의 효율 향상 및 안정성을 위한 기계장치, 발전기 및 발전안정화 장치 등을 연구한다. |
되는길 |
풍력발전은 바람으로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를 돌려 전기를 얻는 발전시스템으로 전기, 항공, 구조, 제어 등에 대한 전문지식이 요구된다. 풍력발전은 바람의 수평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 변환된 운동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것이므로 기계공학, 전기공학, 제어계측학, 건축설비공학 등의 전공자가 진출하기 적합하다. 석사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며 특히 바람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풍력발전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블레이드(blade), 로터, 증속기 등의 연구, 개발, 설계하려면 관련 세부전공자가 도전하기에 적합하다. |
관련전공명 |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에너지공학과, 전기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72만원, 평균(50%) 4986.4만원, 상위(25%) 6004만원 |
직업만족도(%) |
74.1 |
일자리전망 |
증가(43%) 현상유지(47%) 감소(10%) |
일자리현황 |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98)/학습전략(96)/논리적 분석(96)/기술 설계(95)/기술 분석(95) |
지식 |
물리(100)/지리(100)/공학과 기술(100)/화학(97)/산수와 수학(93) |
업무환경 |
고지대 작업(98)/이메일 이용하기(89)/공문, 문서 주고받기(82)/전화 대화하기(79)/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77) |
성격 |
혁신(90)/분석적 사고(85)/성취/노력(79)/사회성(74)/책임과 진취성(73)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70)/관습형(Conventional)(63)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82)/고용안정(66)/애국(62)/신체활동(59)/인정(56) |
업무활동 중요도 |
협상, 갈등 해결(90)/자원 관리(9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9)/인사 업무(88)/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7) |
업무활동 수준 |
인사 업무(94)/자원 관리(94)/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팀 구성, 협업 촉진(83) |
관련직업명 |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원자력공학기술자, 가스·에너지시험원 및 진단전문가,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영향평가원,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시험원, 보건위생·환경검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