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화학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화학공학시험원 |
하는일 |
화학공학의 원리와 기술을 응용하여 원료, 중간제품, 최종제품 등이 작업표준과 일치하는지 시험·분석한다. |
되는길 |
화학공학시험원이 되기 위해서는 화학공학 관련 분야를 가르치는 공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화학공학과에서는 수학, 화학, 물리, 생물 등의 기초과목을 비롯하여 화공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물질전달, 화학반응공학, 유기공업화학, 화학공학실험, 공업화학실험 등을 배우게 된다. 진출영역은 연료, 석유정제, 화학약품, 비료, 농약, 화장품, 기타 석유화학산업분야의 제조업에 해당한다. |
관련전공명 |
화학공학과, 화학과 |
관련자격증명 |
화공기사, 산업기사, 기술사(국가기술), 화공안전기술사(국가기술), 화학분석기능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59만원, 평균(50%) 4092.2만원, 상위(25%) 5090만원 |
직업만족도(%) |
70.1 |
일자리전망 |
증가(33%) 현상유지(60%) 감소(6%) |
일자리현황 |
화학공학시험원 |
업무수행능력 |
기술 분석(91)/장비 선정(90)/문제 해결(89)/설치(89)/품질관리분석(84) |
지식 |
화학(100)/물리(89)/상품 제조 및 공정(87)/생물(80)/공학과 기술(79) |
업무환경 |
위험한 상태 노출(99)/보호장비 착용(94)/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93)/오염물질 노출(91)/이메일 이용하기(87) |
성격 |
분석적 사고(90)/신뢰성(87)/정직성(75)/혁신(71)/꼼꼼함(71)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77)/관습형(Conventional)(60)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85)/애국(82)/경제적 보상(82)/지적 추구(77)/신체활동(71)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92)/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9)/기계장비 유지 보수(89)/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0)/정보 처리(77) |
업무활동 수준 |
전자장비 유지 보수(95)/기계장비 유지 보수(8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4)/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0)/정보 처리(77) |
관련직업명 |
석유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고무 및 플라스틱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도료 및 농약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의약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