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전기·전자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전자계측제어기술자 |
하는일 |
전자장비의 하드웨어 및 계측제어 설비의 개발방안을 연구하고, 관련 제품의 양산을 지원·감독한다. |
되는길 |
전자계측제어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2~3년제 대학 및 4년제 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전기공학, 통신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연구·개발업무 종사자 중에는 대학원 이상을 졸업하고 진출하는 경우도 많다. 대학교의 전자공학과에서는 수학, 물리학 등 전자공학에 필요한 기초과목을 비롯해 전자회로, 제어공학, 계측공학, 반도체소자, 소프트웨어공학 등의 관련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공부한다. 그러나 전자공학과 전기공학은 서로 중복되는 분야가 많기 때문에 하나의 학과나 학부로 통합하여 개설하는 대학도 있다. |
관련전공명 |
물리·과학과, 산업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재료·금속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산업계측제어기술사(국가기술), 전자계산기기능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전자응용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85만원, 평균(50%) 4600만원, 상위(25%) 5387만원 |
직업만족도(%) |
73.3 |
일자리전망 |
증가(77%) 현상유지(13%) 감소(10%) |
일자리현황 |
전자계측제어기술자 |
업무수행능력 |
기술 설계(97)/기술 분석(84)/수리력(84)/물적자원 관리(77)/설치(77) |
지식 |
공학과 기술(99)/상품 제조 및 공정(94)/물리(92)/산수와 수학(91)/기계(85) |
업무환경 |
재택근무(80)/이메일 이용하기(78)/앉아서 근무(76)/공문, 문서 주고받기(69)/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69) |
성격 |
분석적 사고(65)/독립성(63)/혁신(49)/협조(47)/리더십(43) |
흥미 |
현실형(Realistic)(72)/관습형(Conventional)(57)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80)/신체활동(65)/성취(60)/지적 추구(59)/인정(48)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9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4)/기계장치 제어(92)/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8)/기계장비 유지 보수(85) |
업무활동 수준 |
전자장비 유지 보수(99)/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5)/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1)/창조적 생각(91)/기계장치 제어(90) |
관련직업명 |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 및 연구원, 전기계측제어기술자, 발전설비기술자, 송·배전설비기술자, 전기감리기술자, 전기안전기술자, 전자제품 및 부품 개발기술자,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디스플레이연구 및 개발자, 전기·전자공학시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