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건축·토목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건축구조기술자 |
하는일 |
건축물의 공간 및 형태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구축하도록 기초 및 구조시스템, 주요 부재(벽, 바닥, 기둥, 방화벽, 외벽, 환기덕트 등)의 위치 및 크기를 설계한다. |
되는길 |
건축구조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에서 건축구조를 전공하거나 대학교(4~5년제)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한 후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전문대학(2~3년제) 졸업자의 경우는 구조안전진단 분야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고, 실력을 쌓아 구조설계를 하는 경우도 있다. 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는 건축학개론, 건축계획, 건축사, 건축구조, 건축재료, 건축설비, 건축법, 건축CAD, 건축설계 등을 배우는데, 건축시공이나 건축구조 등 공학(엔지니어링)에 주안점을 둔다. 건축구조에 대한 지식과 기술 외에 엑셀과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구조진단, 감리 업무도 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 기술자들과의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관련 자격으로 건축구조기술사, 건축기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가 있다. 자격 취득이 취업에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취업에 매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건설회사나 감리전문회사, 엔지니어링회사, 건축사사무소, 건축관련 연구소, 정부(기술직 공무원), 공공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경력이 쌓이고 건축구조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개인사무실을 창업할 수도 있다. |
관련전공명 |
건축·설비공학과, 건축학과, 토목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건설기계기술사(국가기술), 건설기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안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건축구조기술사(국가기술), 건축품질시험기술사(국가기술), 건푹품질시험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20만원, 평균(50%) 4662만원, 상위(25%) 6258만원 |
직업만족도(%) |
71.2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73%) 감소(27%) |
일자리현황 |
건축구조기술자 |
업무수행능력 |
기술 설계(99)/공간지각력(99)/설치(98)/장비 선정(97)/물적자원 관리(97) |
지식 |
건축 및 설계(100)/산수와 수학(99)/공학과 기술(99)/물리(99)/법(97) |
업무환경 |
재택근무(98)/결과에 대한 책임(92)/이메일 이용하기(89)/자동화 정도(88)/앉아서 근무(86) |
성격 |
분석적 사고(79)/신뢰성(61)/적응성/융통성(54)/협조(50)/리더십(50)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75)/탐구형(Investigative)(71)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90)/지적 추구(77)/애국(74)/성취(67)/고용안정(66)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9)/팀 구성, 협업 촉진(97)/협상, 갈등 해결(96)/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6)/컴퓨터 업무(95)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7)/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6)/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3)/팀 구성, 협업 촉진(93)/협상, 갈등 해결(90) |
관련직업명 |
건축가(건축설계사), 건축설비기술자, 건축감리기술자, 건축안전·환경기술자 및 건축품질기술자, 건축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토목구조설계기술자, 토목감리기술자, 토목안전·환경기술자 및 토목품질기술자, 토목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조경기술자, 도시계획·설계가, 교통계획·설계가, 교통영향평가원,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 건설자재시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