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소프트웨어 개발자 |
직업 소분류명 |
웹기획자 |
하는일 |
웹서비스 내용에 대한 기획, 웹사이트 구축 및 관리를 위한 기술적 검토, 웹페이지 운영 및 서비스 활성화 마련, 사용자의 요구 반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웹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 전산학과, 인터넷(정보)공학과 등에서 웹 구축에 필요한 프로그래밍언어를 비롯해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한 공부를 하거나 프로그래밍, 디자인 등으로 과정이 나누어져 있는 사설교육기관에서 웹 관련 강좌를 이수하는 것이 좋다. 웹 기획과 개발을 위해서는 웹언어뿐만 아니라 SQL 등의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웹에디터, 그래픽소프트웨어(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플래시, 플렉스) 등의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 취업과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언어가 쉬워졌기 때문에 사설 교육기관을 통해 입직할 수 있으며 채용 시 학력보다는 경력을 우선시하므로 많은 실습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웹기획자들은 주로 인터넷사이트의 채용공고를 통해서 입직하며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사람도 많다. 취업 시 학력이나 자격증 취득 여부보다 실무경험을 높이 평가하므로 작은 사이트라도 직접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우대한다. 콘텐츠 및 디자인 기획 등 전반적인 홈페이지 관리를 담당하고, 제공되는 정보를 계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며, 고객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
관련전공명 |
공학교육과, 광고·홍보학과, 신문방송학과, 정보미디어학과 |
관련자격증명 |
OCP(외국), SCJP(외국), 정보처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19만원, 평균(50%) 4000만원, 상위(25%) 4714만원 |
직업만족도(%) |
70.8 |
일자리전망 |
증가(43%) 현상유지(40%) 감소(17%) |
일자리현황 |
웹기획자 |
업무수행능력 |
전산(97)/판단과 의사결정(94)/기술 설계(94)/조작 및 통제(93)/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2) |
지식 |
디자인(96)/컴퓨터와 전자공학(95)/영업과 마케팅(85)/의사소통과 미디어(85)/통신(80) |
업무환경 |
갈등 상황(98)/재택근무(97)/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3)/이메일 이용하기(92)/앉아서 근무(92) |
성격 |
분석적 사고(73)/사회성(63)/혁신(60)/적응성/융통성(60)/리더십(50) |
흥미 |
예술형(Artistic)(68)/진취형(Enterprising)(67) |
직업가치관 |
성취(76)/신체활동(76)/경제적 보상(75)/다양성(75)/고용안정(66) |
업무활동 중요도 |
컴퓨터 업무(97)/창조적 생각(95)/목표, 전략 수립(90)/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8)/정보의 의미 해석(86) |
업무활동 수준 |
컴퓨터 업무(90)/창조적 생각(90)/목표, 전략 수립(84)/정보 수집(80)/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9) |
관련직업명 |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게임프로그래머, 모바일앱개발자, 웹개발자, IT테스터 및 IT QA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