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컴퓨터시스템 전문가 |
직업 소분류명 |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
하는일 |
조직 운영에 필요한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사용 환경, 기술특성 등을 분석하고,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며, 시스템 구축 완료 후 사용되기까지의 모든 업무를 총괄한다. |
되는길 |
컴퓨터시스템설계분석가로 일하려면 하드웨어, 컴퓨터 운영체제(OS)를 비롯해 서버,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 컴퓨터 전반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갖춰야 한다. 이외에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해야 한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컴퓨터나 정보통신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학 등 자연과학 전공자도 많다. 컴퓨터시스템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영학, 경영정보학, 산업공학 등을 전공한 후 진출하는 사람도 있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전자계산, 전자계산조직응용기사, 정보관리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정보시스템감리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등이 있다. |
관련전공명 |
산업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DB2(외국), 전자계산기기능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전자계산조직응용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정보관리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72만원, 평균(50%) 4631만원, 상위(25%) 5750만원 |
직업만족도(%) |
70.6 |
일자리전망 |
증가(43%) 현상유지(53%) 감소(3%) |
일자리현황 |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
업무수행능력 |
기술 설계(99)/기술 분석(95)/설치(89)/장비 선정(86)/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85) |
지식 |
컴퓨터와 전자공학(99)/통신(97)/공학과 기술(82)/영어(81)/산수와 수학(81) |
업무환경 |
재택근무(92)/자동화 정도(92)/앉아서 근무(92)/이메일 이용하기(83)/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80) |
성격 |
분석적 사고(86)/협조(84)/리더십(79)/혁신(75)/책임과 진취성(63) |
흥미 |
현실형(Realistic)(87)/관습형(Conventional)(75) |
직업가치관 |
다양성(97)/신체활동(93)/경제적 보상(91)/애국(87)/심신의 안녕(84) |
업무활동 중요도 |
컴퓨터 업무(91)/창조적 생각(90)/전자장비 유지 보수(83)/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1)/사람들에게 조언, 상담(78)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93)/컴퓨터 업무(92)/전자장비 유지 보수(89)/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4)/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1) |
관련직업명 |
정보통신컨설턴트 및 감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