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생명과학시험원 |
하는일 |
생물학, 의약, 식품, 농업, 임업 등 생명과학 분야에서 연구자의 연구개발 업무를 보조하거나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실험기구 및 장비를 설치하고 조작·유지·관리하며 실험을 관찰하고 결과를 기록하거나 연구자의 관리하에 시험·분석·검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되는길 |
생명과학시험원이 되려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춰야 한다. 생물, 미생물, 식품, 농업, 임업, 자원관리나 공업계 및 의료보건 계열의 전문대학을 졸업하면 더욱 유리하며, 일정 기간의 숙련기간과 사내연구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생명과학시험원이 되기 위한 공인된 국가 자격증은 없으나 화학비료, 살균제, 제초제 및 살충제를 사용하는 데는 면허증이 필요하다. 생명과학시험원은 농학, 의학, 생물학 및 기타 생명과학 분야에 흥미가 있으며,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함께 실험절차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실험기구 및 장비를 다루는 정밀성, 육안으로 물체의 특징을 알아내는 시력 및 색 판별능력 등이 요구된다. 또한. 다른 생명과학자 및 시험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교환을 할 수 있는 능력과 반복된 실험 속에서도 침착하게 결과를 끌어낼 수 있는 끈기, 컴퓨터 운용능력 또한 중요하다. |
관련전공명 |
간호학과, 농업학과, 산림·원예학과, 생명과학과, 수산학과, 수의학과, 의학과, 임상병리학과, 자연계교육과, 화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74만원, 평균(50%) 4500만원, 상위(25%) 5284만원 |
직업만족도(%) |
68.1 |
일자리전망 |
증가(30%) 현상유지(67%) 감소(3%) |
일자리현황 |
생명과학시험원 |
업무수행능력 |
물적자원 관리(96)/기술 분석(92)/모니터링(Monitoring)(91)/판단과 의사결정(90)/행동조정(90) |
지식 |
화학(100)/생물(100)/물리(84)/산수와 수학(82)/영어(76)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99)/위험한 상태 노출(97)/오염물질 노출(94)/보호장비 착용(78)/이메일 이용하기(76) |
성격 |
분석적 사고(91)/혁신(89)/독립성(81)/꼼꼼함(79)/정직성(79)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62)/관습형(Conventional)(52)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96)/경제적 보상(96)/자율(92)/지적 추구(91)/심신의 안녕(90) |
업무활동 중요도 |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8)/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정보 처리(96)/정보 작성, 기록(94)/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3) |
업무활동 수준 |
인사 업무(93)/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정보 처리(84)/정보 작성, 기록(84)/자원 관리(84) |
관련직업명 |
의학연구원, 약학연구원, 농학연구원, 수산학연구원, 임학 및 산림학연구원, 축산학 및 수의학연구원, 농림어업시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