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직업 중분류명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직업 소분류명 축산학 및 수의학연구원
    하는일 축산학연구원은 축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가축 및 가금의 유전학, 품종개량, 육종, 사양관리, 생산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수의학연구원은 연구, 개발, 자문, 관리 등을 통해 동물의 질병과 상해를 전문적으로 연구한다.
    되는길 축산학 및 수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에서 축산학과 수의학 관련 전공을 하고 석사 이상의 학력을 취득해야 한다. 축산학 및 수의학연구원은 국가기관에서 운영하는 연구소(축산기술연구소, 농촌진흥청 등)에서 주로 근무하게 되는데 공무원 신분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농림부, 농촌진흥청 등에서 실시하는 특별채용과 공개채용 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연구원에게 자격증 소지 여부는 큰 의미가 없으나 국가시험은 관련 자격증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축산산업기사, 축산기사, 축산기술사 등과 같은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관련전공명 농업학과, 수의학과
    관련자격증명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00만원, 평균(50%) 5000만원, 상위(25%) 6216만원
    직업만족도(%) 72.8
    일자리전망 증가(23%) 현상유지(50%) 감소(26%)
    일자리현황 축산학 및 수의학연구원
    업무수행능력 학습전략(98)/듣고 이해하기(98)/글쓰기(97)/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7)/수리력(96)
    지식
    업무환경
    성격
    흥미
    직업가치관 애국(96)/지적 추구(93)/경제적 보상(92)/고용안정(92)/자율(89)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 자료 분석(79)/정보 처리(63)/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56)/정보 작성, 기록(55)/컴퓨터 업무(52)
    업무활동 수준 사물, 행동, 사건 파악(73)/정보, 자료 분석(73)/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69)/정보 처리(63)/정보 작성, 기록(61)
    관련직업명 의학연구원, 약학연구원, 농학연구원, 수산학연구원, 임학 및 산림학연구원, 생명과학시험원, 농림어업시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