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직업 중분류명 자연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직업 소분류명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
    하는일 천체와 지구대기의 물리적 특성 및 요인을 관찰·해석하고, 연구 결과를 기초과학이나 항해, 기상예보 등 실제적인 문제에 적용한다.
    되는길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천문학과나 기상학과 등에 진학하여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우주에 있는 행성과 별, 우주공간에 관한 새로운 것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과학과 수학을 전공해야 한다. 자연과학 분야의 학과는 개별 학과보다 학부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가 많아 대학 진학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할 수 있다. 석사과정에 진학하면 자신의 전공에 대한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다. 특히 채용 시 박사 학위 이상으로 지원자를 제한하는 경우도 많아 박사 또는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과정 중에 학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하면 입직 시 유리하다.
    관련전공명 천문·기상학과
    관련자격증명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968만원, 평균(50%) 4662만원, 상위(25%) 5292만원
    직업만족도(%) 70.9
    일자리전망 증가(40%) 현상유지(47%) 감소(13%)
    일자리현황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
    업무수행능력 문제 해결(99)/전산(98)/공간지각력(98)/수리력(96)/시력(96)
    지식
    업무환경
    성격
    흥미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9)/고용안정(95)/인정(92)/애국(91)/경제적 보상(91)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의 의미 해석(89)/정보, 자료 분석(84)/정보 수집(82)/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1)/정보 처리(80)
    업무활동 수준 정보의 의미 해석(92)/정보 작성, 기록(87)/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5)/정보, 자료 분석(84)/정보 처리(78)
    관련직업명 물리학연구원, 화학연구원, 수학 및 통계연구원, 생물학연구원, 지질학연구원, 자연과학시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