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자연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직업 소분류명 |
생물학연구원 |
하는일 |
모든 형태의 생명체에 대하여 그 기원, 발달, 해부, 기능관계 및 기타 원리를 연구하며 의학, 농업 등의 분야에 실제 적용부분을 개발한다. |
되는길 |
생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등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주로 자연과학과 관련한 기초지식을 쌓는 학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학년이 되면서 더욱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세부 전공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구원이 되면 보통 석사 과정의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학생 시절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관련 논문을 저널에 제출하는 등 연구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으로 일해보거나 일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관련 기관의 입직 시 많은 도움이 된다. |
관련전공명 |
생명과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44만원, 평균(50%) 4834.6만원, 상위(25%) 5699만원 |
직업만족도(%) |
75.3 |
일자리전망 |
증가(63%) 현상유지(33%) 감소(3%) |
일자리현황 |
생물학연구원 |
업무수행능력 |
재정 관리(100)/범주화(100)/학습전략(100)/행동조정(100)/시간 관리(99) |
지식 |
생물(100)/화학(98)/산수와 수학(88)/공학과 기술(86)/영어(86) |
업무환경 |
이메일 이용하기(91)/공문, 문서 주고받기(86)/앉아서 근무(85)/정확성, 정밀성 유지(82)/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82) |
성격 |
독립성(89)/정직성(84)/혁신(82)/분석적 사고(77)/리더십(77)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98)/관습형(Conventional)(41)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82)/고용안정(77)/경제적 보상(69)/신체활동(69)/지적 추구(66)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행동, 사건 파악(97)/정보 수집(95)/정보 처리(91)/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6)/정보, 자료 분석(86) |
업무활동 수준 |
사물, 행동, 사건 파악(95)/정보 수집(94)/정보 처리(91)/정보 작성, 기록(88)/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7) |
관련직업명 |
물리학연구원, 화학연구원, 수학 및 통계연구원, 지질학연구원,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 자연과학시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