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직업 중분류명 자연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직업 소분류명 화학연구원
    하는일 생산, 공정개발, 품질관리 및 정량분석 또는 분석방법의 개발, 새로운 생산물과 도구들의 산출 등을 목적으로 액체, 고체 기체물질 및 화합에 관한 연구, 분석, 종합 또는 실험을 수행한다.
    되는길 화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화학과에 진학하여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인턴십이나 산학협력을 통한 실험실 경험이 입직에 도움이 된다. 자연과학 분야의 학과는 개별 학과보다 학부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가 많아 대학 진학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할 수 있다. 석사 과정에 진학하면 분석화학이나 유기화학, 제약화학과 같이 자신의 전공에 대한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다. 특히 채용 시 박사 학위 이상으로 지원자를 제한하는 경우도 많아 박사 또는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과정 중에 학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하면 입직 시 유리하다.
    관련전공명 화학과
    관련자격증명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72만원, 평균(50%) 4750만원, 상위(25%) 5801만원
    직업만족도(%) 75.8
    일자리전망 증가(47%) 현상유지(50%) 감소(3%)
    일자리현황 화학연구원
    업무수행능력 글쓰기(97)/듣고 이해하기(97)/수리력(97)/읽고 이해하기(96)/기억력(90)
    지식 화학(100)/물리(99)/영어(94)/산수와 수학(88)/컴퓨터와 전자공학(88)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4)/정확성, 정밀성 유지(89)/이메일 이용하기(87)/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84)/공문, 문서 주고받기(84)
    성격 분석적 사고(93)/혁신(92)/성취/노력(87)/꼼꼼함(86)/정직성(79)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7)/관습형(Conventional)(80)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8)/고용안정(94)/성취(92)/신체활동(92)/개인지향(91)
    업무활동 중요도 인사 업무(99)/자원 관리(96)/팀 구성, 협업 촉진(96)/정보, 자료 분석(95)/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4)
    업무활동 수준 인사 업무(98)/정보, 자료 분석(92)/정보의 의미 해석(91)/자원 관리(90)/정보 처리(90)
    관련직업명 물리학연구원, 수학 및 통계연구원, 생물학연구원, 지질학연구원,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 자연과학시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