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
직업 소분류명 |
경제학연구원 |
하는일 |
국내외 경제현황을 파악·분석하고 전망하며 제도, 금융, 노동, 지역 등 전문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
되는길 |
경제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경제학 분야에 해당하는 학과에 진학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석·박사 학위과정에 진학하면 세부적인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게 되는데 보통 향후 이와 관련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해 다양한 연구경험을 쌓으면 유리하다. |
관련전공명 |
경제학과, 금융·보험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6216만원, 평균(50%) 7500만원, 상위(25%) 9117만원 |
직업만족도(%) |
76.6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83%) 감소(13%) |
일자리현황 |
경제학연구원 |
업무수행능력 |
추리력(100)/학습전략(99)/협상(99)/수리력(99)/범주화(99) |
지식 |
산수와 수학(99)/영어(98)/경제와 회계(97)/국어(96)/역사(85) |
업무환경 |
재택근무(98)/앉아서 근무(92)/이메일 이용하기(89)/공문, 문서 주고받기(79)/실내 근무(76) |
성격 |
독립성(94)/분석적 사고(94)/혁신(89)/성취/노력(74)/꼼꼼함(74)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74)/진취형(Enterprising)(35)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87)/고용안정(85)/타인에 대한 영향(83)/심신의 안녕(76)/자율(76) |
업무활동 중요도 |
인사 업무(99)/목표, 전략 수립(98)/정보, 자료 분석(97)/정보의 의미 해석(97)/자원 관리(96) |
업무활동 수준 |
인사 업무(97)/정보의 의미 해석(97)/정보, 자료 분석(97)/목표, 전략 수립(90)/정보 처리(89) |
관련직업명 |
철학연구원, 역사학연구원, 언어학연구원, 교육학연구원, 심리학연구원, 정치학연구원, 사회학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