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직업 중분류명 |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
직업 소분류명 |
교육학연구원 |
하는일 |
교육 문제의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교육제도, 교육과정, 교수방법, 교육평가 등에 관한 연구를 한다. |
되는길 |
교육학연구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관련 분야 석사 이상의 학위가 필요하다. 정부출연연구소나 규모가 크고 연구 활동이 많은 연구소에서는 대부분 석사나 박사학위 소지자를 채용한다. 교육학연구원은 인접 학문과 관계를 맺으며 폭넓은 연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전공뿐 아니라 인접 학문의 관련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원이라는 직업은 끊임없이 연구하고 자기의 전공 분야에 대해 깊이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단기간의 교육과 훈련으로 될 수 있는 직업이 아니다. 항상 꾸준한 자기계발과 관련 지식을 배우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관련전공명 |
교육학과 |
관련자격증명 |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500만원, 평균(50%) 5180만원, 상위(25%) 6000만원 |
직업만족도(%) |
76.5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40%) 감소(52%) |
일자리현황 |
교육학연구원 |
업무수행능력 |
글쓰기(98)/듣고 이해하기(98)/읽고 이해하기(97)/학습전략(93)/창의력(93) |
지식 |
교육 및 훈련(100)/국어(98)/사회와 인류(97)/의사소통과 미디어(96)/사무(93) |
업무환경 |
공문, 문서 주고받기(92)/앉아서 근무(90)/이메일 이용하기(88)/연설, 발표, 회의하기(85)/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85) |
성격 |
분석적 사고(93)/혁신(90)/협조(90)/리더십(79)/적응성/융통성(78)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96)/진취형(Enterprising)(94)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97)/고용안정(96)/성취(91)/자율(87)/애국(87) |
업무활동 중요도 |
인사 업무(97)/대인관계 유지(95)/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4)/사람들을 훈련, 교육(94)/정보의 의미 해석(94)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훈련, 교육(96)/인사 업무(96)/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2)/정보, 자료 분석(91)/정보 처리(88) |
관련직업명 |
철학연구원, 역사학연구원, 언어학연구원, 심리학연구원, 정치학연구원, 경제학연구원, 사회학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