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경영·사무·금융·보험직
    직업 중분류명 금융·보험 전문가
    직업 소분류명 손해사정사
    하는일 각종 보험사고시 보험금심사원이 조사한 보상청구에 대해 심사하고, 사고원인을 조사하여 적정한 보험금을 산출하며 지급을 허가한다.
    되는길 손해사정사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하는 손해사정사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자격 제한은 없으나 주로 보험업법, 보험계약법, 손해사정이론 등과 관련된 시험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대학에서 금융보험학이나 법학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각 과목별로 40점 이상이 되고, 전체 평균이 60점이 넘어야 손해사정사 시험에 합격하게 된다. 면허시험에 합격한 후에는 금융감독원, 보험회사, 보험협회 등에서 6개월 동안 실무수습을 받아야 하며, 금융감독원에 등록할 경우에만 손해사정사로 활동할 수 있다. 2016년에 약 460명의 손해사정사를 선발하였으며 2017년도에도 2016년도와 비슷한 규모의 손해사정사를 선발할 예정이다(재물 40명, 차량 100명, 신체 320명 예상).
    관련전공명 경영학과, 경제학과, 금융·보험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법학과, 자동차공학과
    관련자격증명 손해사정사(국가전문), 손해평가사(국가전문)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00만원, 평균(50%) 4662만원, 상위(25%) 5800만원
    직업만족도(%) 73
    일자리전망 증가(53%) 현상유지(43%) 감소(3%)
    일자리현황 손해사정사
    업무수행능력 협상(99)/수리력(98)/설득(97)/문제 해결(96)/추리력(96)
    지식 상담(95)/의료(94)/법(93)/사무(91)/경영 및 행정(90)
    업무환경 재택근무(100)/갈등 상황(99)/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4)/연설, 발표, 회의하기(93)
    성격 분석적 사고(86)/정직성(83)/리더십(79)/타인에 대한 배려(79)/협조(74)
    흥미 사회형(Social)(96)/진취형(Enterprising)(88)
    직업가치관 경제적 보상(97)/심신의 안녕(96)/개인지향(96)/지적 추구(92)/신체활동(90)
    업무활동 중요도 협상, 갈등 해결(97)/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5)/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5)/정보 수집(92)/정보, 자료 분석(90)
    업무활동 수준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4)/정보 처리(92)/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2)/협상, 갈등 해결(92)/정보 수집(91)
    관련직업명 투자분석가, 신용분석가, 자산운용가, 보험상품개발자, 금융상품개발자, 증권·외환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