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직업 중분류명 |
금융·보험 전문가 |
직업 소분류명 |
증권·외환딜러 |
하는일 |
투자에 대한 적절한 조언을 통해 주식, 파생상품, 채권 등을 매입 또는 매각하려는 법인 및 일반인을 위해 그들이 희망하는 거래 주문을 받아서 거래를 성사시키는 업무를 수행한다. 투자회사, 주식 중개회사, 주식 및 선물거래소, 기타 유가증권업 관련 업체에서 일한다. |
되는길 |
증권·외환딜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경영, 경제, 회계, 무역, 통계학, 금융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업체에 따라서는 경영(MBA), 경제, 회계 분야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기도 한다.
증권·외환딜러는 세계 경제현황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경기를 예측하거나 주식, 채권, 금융상품시장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량도 필요하다. 금융투자협회 등에서 주관하는 증권투자, 파생상품투자, 펀드투자 등과 관련한 자격을 취득하여 업계에 진출할 수 있다. |
관련전공명 |
경영학과, 경제학과, 금융·보험학과 |
관련자격증명 |
증권투자상담사(비공인 민간), 투자자산운용사(비공인 민간), 파생상품투자상담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비공인 민간)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326만원, 평균(50%) 5698만원, 상위(25%) 7000만원 |
직업만족도(%) |
73.4 |
일자리전망 |
증가(10%) 현상유지(45%) 감소(43%) |
일자리현황 |
증권·외환딜러 |
업무수행능력 |
판단과 의사결정(88)/말하기(87)/협상(86)/선택적 집중력(83)/사람 파악(80) |
지식 |
경제와 회계(100)/산수와 수학(98)/경영 및 행정(95)/영업과 마케팅(94)/상담(89) |
업무환경 |
자동화 정도(98)/외부 고객 대하기(98)/치열한 경쟁(97)/마감시간(93)/앉아서 근무(88) |
성격 |
분석적 사고(95)/독립성(94)/리더십(93)/혁신(91)/사회성(90)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87)/관습형(Conventional)(83)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89)/성취(79)/이타(50)/지적 추구(49)/고용안정(46) |
업무활동 중요도 |
정보 수집(82)/정보 처리(80)/컴퓨터 업무(79)/사람들에게 조언, 상담(77)/정보, 자료 분석(76) |
업무활동 수준 |
컴퓨터 업무(86)/정보 수집(85)/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4)/정보 처리(79)/정보, 자료 분석(78) |
관련직업명 |
투자분석가, 신용분석가, 자산운용가, 보험상품개발자, 금융상품개발자, 손해사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