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경영·사무·금융·보험직
    직업 중분류명 금융·보험 전문가
    직업 소분류명 투자분석가
    하는일 국내외 금융시장 정보를 수집·분석·예측하여 소속 금융사 또는 일반 투자자에게 투자자문을 제공한다.
    되는길 투자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경영이나 경제, 회계, 통계, 금융 등의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재무관리, 투자론, 파생상품론, 재무제표 분석론, 회계학, 통계학, 경제학, 국제경제학 등의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업무에 도움이 되며,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경영, 경제 분야의 석사 이상 학위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산업별 분석에 정보통신, 생명공학 등 이공계열 전문지식도 요구되고 있어서 이들 전공자도 진출하고 있다. 이공계열 전공자의 경우 대학원에서 경영, 경제 등의 분야를 함께 전공하여 업무에 필요한 재무, 회계, 경제적 지식을 보완하기도 한다. 투자분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담당하는 업종에 대한 해박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해당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후 투자분석가로 입문하는 경우도 있다. 투자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소 국내외 경제관련 기사와 증권사 기업분석리포트를 꾸준히 읽어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영문분석자료 작성이나 영어 프레젠테이션이 증가하고 있어 외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다면 업무에 유리하다.
    관련전공명 경영학과, 경제학과, 금융·보험학과, 세무·회계학과
    관련자격증명 CIIA[국제공인증권분석사](외국), CRA[신용위험분석사](국가공인 민간), 신용분석사(국가공인 민간), 신용위험분석사(국가공인 민간)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5180만원, 평균(50%) 6216만원, 상위(25%) 7511만원
    직업만족도(%) 77.3
    일자리전망 증가(13%) 현상유지(50%) 감소(36%)
    일자리현황 투자분석가
    업무수행능력 수리력(99)/판단과 의사결정(95)/선택적 집중력(94)/논리적 분석(80)/공간지각력(79)
    지식 경제와 회계(100)/경영 및 행정(98)/산수와 수학(98)/영업과 마케팅(96)/사무(90)
    업무환경 치열한 경쟁(99)/자동화 정도(98)/연설, 발표, 회의하기(9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5)/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2)
    성격 성취/노력(99)/인내(99)/독립성(99)/리더십(98)/혁신(97)
    흥미 진취형(Enterprising)(99)/탐구형(Investigative)(91)
    직업가치관 성취(99)/고용안정(93)/이타(91)/애국(85)/다양성(75)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 수집(98)/목표, 전략 수립(97)/정보의 의미 해석(95)/사물, 행동, 사건 파악(95)/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4)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7)/목표, 전략 수립(96)/정보의 의미 해석(95)/정보 수집(95)/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
    관련직업명 신용분석가, 자산운용가, 보험상품개발자, 금융상품개발자, 증권·외환딜러, 손해사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