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직업 중분류명 |
정부·공공 행정 사무원 |
직업 소분류명 |
조세행정사무원 |
하는일 |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세금, 부담금 및 기타 형태의 과징금 등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금신고서, 판매영수증 및 기타 서류를 검사한다. |
되는길 |
각종 세법에 따라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각종 세금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고서, 판매영수증, 세금계산서 및 기타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과세자료를 추적ㆍ조사하고, 세금을 부과, 승인 결정하는데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조세행정 사무원이 되려면 국세청에 입사해야 한다. 시험에 합격하면 국세청 본부나 지방의 세무서 등에 근무한다. 응시자격을 보면 국가직 공무원은 만 18세이상 ∼ 만 28세 이하이어야 하며 지방직 공무원은 만 18세이상 ∼ 만 32세 이하 (서울은 만 30세 이하) 이어야 한다. 학력·경력·성별 등에 제한은 없으나 국어, 한국사, 영어, 세법개론, 회계학(회계원리, 원가회계) 등의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면접을 거쳐야 한다. 각 년마다 채용 예정된 인원을 목표로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한다. |
관련전공명 |
법학과, 비서학과, 세무·회계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
관련자격증명 |
전산세무회계(국가공인 민간), 전산회계운용사 1,2,3급(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50만원, 평균(50%) 4172만원, 상위(25%) 5180만원 |
직업만족도(%) |
75.4 |
일자리전망 |
증가(6%) 현상유지(57%) 감소(37%) |
일자리현황 |
조세행정사무원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96)/전산(91)/논리적 분석(84)/읽고 이해하기(82)/듣고 이해하기(81) |
지식 |
경제와 회계(99)/사무(90)/산수와 수학(90)/법(88)/경영 및 행정(81) |
업무환경 |
자동화 정도(99)/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5)/앉아서 근무(89)/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86)/마감시간(85) |
성격 |
자기통제(64)/정직성(58)/분석적 사고(40)/타인에 대한 배려(37)/독립성(35)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0)/사회형(Social)(59)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98)/애국(94)/신체활동(88)/인정(80)/심신의 안녕(77) |
업무활동 중요도 |
행정, 관리 업무(97)/정보 작성, 기록(84)/컴퓨터 업무(83)/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1)/정보 처리(77) |
업무활동 수준 |
행정, 관리 업무(96)/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컴퓨터 업무(87)/정보 처리(85)/정보 작성, 기록(85) |
관련직업명 |
관세행정사무원, 병무행정사무원, 일반행정공무원, 법원공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