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경영·사무·금융·보험직
    직업 중분류명 회계·세무·감정 전문가
    직업 소분류명 관세사
    하는일 관세법과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수출 및 수입과 관련된 통관 업무를 수행한다.
    되는길 관세사가 되기 위해서는 관세사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관세사 시험은 1차 시험과 2차 시험으로 구분되는데 이 시험에 모두 합격한 후 6개월간의 실무 수습기간을 거쳐서 정식으로 관세사로 활동할 수 있다. 1차 시험은 관세법개론, 무역영어, 내국소비세법, 회계학에 대하여 객관식으로 평가하며 2차 시험은 관세법, 관세율표 및 상품학, 관세평가, 무역실무 등에 대하여 논술식으로 평가한다. 전공의 제한은 없지만 시험과목과 관련 있는 경영학, 경제학, 무역학, 세무(회계)학, 법학 등의 전공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관세사 2차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2015년 91명, 2014년 90명 그리고 2013년 77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세사 시험에 합격하면 개인사무소를 개업하여 운영하거나 합동사무소에 참여하여 활동할 수 있으며 무역관련 기업체에 취업하기도 하고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어떻게 수출이나 수입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 컨설팅을 해주기도 한다.
    관련전공명 경영학과, 경제학과, 무역·유통학과, 법학과, 세무·회계학과
    관련자격증명 관세사(국가전문)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455만원, 평균(50%) 5180만원, 상위(25%) 6358만원
    직업만족도(%) 78.8
    일자리전망 증가(30%) 현상유지(30%) 감소(40%)
    일자리현황 관세사
    업무수행능력 재정 관리(96)/인적자원 관리(96)/범주화(95)/수리력(92)/협상(92)
    지식 법(100)/경제와 회계(97)/인사(95)/경영 및 행정(93)/사무(93)
    업무환경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0)/재택근무(89)/외부 고객 대하기(89)/이메일 이용하기(87)/자동화 정도(86)
    성격 꼼꼼함(93)/사회성(85)/인내(84)/책임과 진취성(82)/성취/노력(81)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9)/진취형(Enterprising)(94)
    직업가치관 인정(87)/신체활동(87)/성취(85)/경제적 보상(82)/고용안정(81)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96)/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5)/협상, 갈등 해결(94)/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91)/조직 외부인과 소통(91)
    업무활동 수준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5)/협상, 갈등 해결(94)/행정, 관리 업무(94)/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92)/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1)
    관련직업명 회계사, 세무사, 감정평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