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커뮤니티 업종별⋅지역별⋅규모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입니다. 
공통된 인사 이슈를 공유하고, 특화된 인적네트워크의 기회를 가져보세요.

    직업정보소개

    직업 대분류명 경영·사무·금융·보험직
    직업 중분류명 회계·세무·감정 전문가
    직업 소분류명 세무사
    하는일 개인과 기업 등 납세자를 대리하여 납세의무 이행과 관련한 일체의 세무대리 업무를 수행한다.
    되는길 세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세무사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세무사시험에 응시하려면 먼저 공인된 영어 시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고 1차 객관식 시험과 2차 논술형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1차 시험은 재정학, 세법학개론, 회계학개론, 상법 등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며 2차 시험에서는 회계학, 세법학 등의 전문지식을 평가한다. 대학에서 경제, 경영, 회계, 법학, 셈 등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매년 약 650명이 2차 시험에 합격하는데 최근들어 지원자 수가 점차 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세무사 시험에 합격한 후에 6개월간의 실무수습을 받고 한국세무사회에 등록해야 공식적인 세무사로 활동할 수 있다.
    관련전공명 경영학과, 경제학과, 법학과, 세무·회계학과
    관련자격증명 세무사(국가전문)
    임금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5395만원, 평균(50%) 6750만원, 상위(25%) 8288만원
    직업만족도(%) 73.8
    일자리전망 증가(43%) 현상유지(40%) 감소(17%)
    일자리현황 세무사
    업무수행능력 재정 관리(99)/수리력(98)/협상(96)/인적자원 관리(94)/듣고 이해하기(93)
    지식 경제와 회계(100)/경영 및 행정(99)/법(95)/사무(91)/산수와 수학(91)
    업무환경 의사결정 가능성(91)/앉아서 근무(89)/실수의 심각성(87)/재택근무(85)/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84)
    성격 정직성(83)/사회성(81)/분석적 사고(81)/책임과 진취성(79)/인내(76)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9)/진취형(Enterprising)(80)
    직업가치관 고용안정(98)/신체활동(97)/자율(96)/개인지향(94)/심신의 안녕(94)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97)/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4)/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9)/인사 업무(85)/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1)
    업무활동 수준 행정, 관리 업무(96)/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1)/인사 업무(89)/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86)/정보 처리(86)
    관련직업명 회계사, 관세사, 감정평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