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직업 중분류명 |
경영·인사 전문가 |
직업 소분류명 |
노무사 |
하는일 |
노동관계 분야 전반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근로자의 법률문제를 상담한다. |
되는길 |
노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노무사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노무사시험에 합격하려면 1차 객관식 시험, 2차 논술 시험에 통과하고 3차(면접)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1차 시험은 노동법, 민법, 사회보험법, 경제학/경영학과 영어를 평가하며 2차 시험은 노동법, 인사노무관리론, 행정쟁송법 등의 과목에서의 전문성을 평가한다. 3차 시험에서는 면접을 통해 국가관/사명감,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예의/품행 및 성실성,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등을 평가한다.
1년에 약 250명의 노무사를 시험을 통해 선발한다. 시험과목에 법률과 경영/경제학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전공을 공부한 사람에게 유리할 수 있다. 노무사 자격 취득 이후 6개월간의 실무 수습을 수료한 후에 고용노동부에 등록하고 정식으로 공인노무사가 된다.
|
관련전공명 |
경영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
관련자격증명 |
공인노무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44만원, 평균(50%) 5076.4만원, 상위(25%) 6900만원 |
직업만족도(%) |
75.4 |
일자리전망 |
증가(73%) 현상유지(17%) 감소(10%) |
일자리현황 |
노무사 |
업무수행능력 |
협상(99)/설득(96)/행동조정(96)/사람 파악(94)/문제 해결(94) |
지식 |
인사(100)/법(100)/사회와 인류(97)/상담(97)/경영 및 행정(97) |
업무환경 |
재택근무(98)/의사결정 가능성(89)/이메일 이용하기(88)/앉아서 근무(87)/공문, 문서 주고받기(87) |
성격 |
책임과 진취성(99)/인내(97)/성취/노력(97)/신뢰성(97)/독립성(90) |
흥미 |
사회형(Social)(71)/관습형(Conventional)(65) |
직업가치관 |
자율(91)/인정(87)/경제적 보상(86)/신체활동(86)/성취(85) |
업무활동 중요도 |
협상, 갈등 해결(100)/조직 외부인과 소통(94)/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3)/행정, 관리 업무(93)/정보, 자료 분석(89) |
업무활동 수준 |
협상, 갈등 해결(99)/행정, 관리 업무(94)/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1)/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1)/조직 외부인과 소통(88) |
관련직업명 |
경영·진단전문가, 인적자원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