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대분류명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직업 중분류명 |
전문서비스 관리자 |
직업 소분류명 |
정보통신관리자 |
하는일 |
정보통신 또는 전산 부서의 종사자들을 지휘·감독하고 경영주 또는 기술진의 특정한 정보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프로젝트의 성격을 규정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검증과 운영체제를 도입하기 위하여 컴퓨터 운영 계획 및 전산장비의 구입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고 조정한다. |
되는길 |
정보통신관련관리자는 해당 분야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과 실무자로서의 충분한 업무 경력이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관련관리자의 경우, 대부분 대졸 이상으로 전기/전자, 컴퓨터/통신, 경영/경제, 사회과학 전공자이다. 이들은 대부분 사원으로 입사하여 경험과 기술을 습득하고 승진을 통해 관리자가 되며, 승진기간은 기업체 또는 개인능력에 따라 다양하지만 사원으로 입사하여 부장으로 승진하는 데 통상 20여 년이 소요된다. 요즘은 연공서열보다는 능력중심의 인사제도로 바뀌고 있어 30대 이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
관련전공명 |
정보·통신공학과 |
관련자격증명 |
정보통신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835만원, 평균(50%) 5800.8만원, 상위(25%) 6462만원 |
직업만족도(%) |
75 |
일자리전망 |
증가(56%) 현상유지(33%) 감소(10%) |
일자리현황 |
정보통신관리자 |
업무수행능력 |
전산(100)/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100)/시간 관리(97)/설치(96)/선택적 집중력(93) |
지식 |
통신(100)/컴퓨터와 전자공학(99)/안전과 보안(93)/경영 및 행정(93)/공학과 기술(89) |
업무환경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2)/갈등 상황(92)/연설, 발표, 회의하기(92)/결과에 대한 책임(90)/의사결정 권한(88) |
성격 |
혁신(92)/분석적 사고(85)/리더십(78)/신뢰성(70)/적응성/융통성(67)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88)/관습형(Conventional)(82) |
직업가치관 |
애국(100)/이타(99)/지적 추구(99)/타인에 대한 영향(97)/자율(97) |
업무활동 중요도 |
컴퓨터 업무(92)/행정, 관리 업무(91)/인사 업무(91)/정보의 의미 해석(87)/정보 작성, 기록(86) |
업무활동 수준 |
인사 업무(92)/행정, 관리 업무(90)/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87)/컴퓨터 업무(86)/자원 관리(84) |
관련직업명 |
연구관리자, 유치원 원장 및 원감, 초등학교 교장 및 교감, 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감, 대학교 총장 및 대학학장, 경찰·소방·교도관리자, 보건·의료관리자, 사회복지관리자, 예술·디자인·방송관리자 |